[사자성어/고사성어/한자성어]
ㄷ편을 만드는 김에 ㅁ으로 시작하는 사자성어도 빠르게 공부해봤습니다.
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! 그럼 마이동풍부터 시작해봅시다.
1. 마이동풍(馬耳東風)
-동풍이 말의 귀를 스쳐감/말의 귀에 동풍이 불어도 전혀 느끼지 못함
-남의 말을 귀담아듣지 않고 흘려보냄
(유의어: 우이독경牛耳讀經)
2. 마중지봉(麻中之蓬)
-삼밭에 나는 쑥대(구부러진 쑥도 삼밭에 나면 저절로 꼿꼿하게 자람)
-좋은 환경에서 자란 사람은 그 영향을 받아 선량해짐
(유의어: 근주자적近朱者赤)
3. 막상막하(莫上莫下)
-더 낫고 더 못함의 차이가 거의 없음
-어느 것이 위고 아래인지 분간할 수 없음
-비슷비슷함
(유의어: 난형난제難兄難弟, 백중지세伯仲之勢, 백중지간伯仲之間)
4. 막역지간(莫逆之間)
-서로를 거스르지 않는 사이
-벗으로서 허물없이 친한 막역한 사이
5. 막역지우(莫逆之友)
-허물없이 아주 친한 벗
6. 만경창파(萬頃蒼波)
-만 이랑의 푸른 물결
-한없이 넓고 푸른 바다나 호수의 물결
7. 만고풍상(萬古風霜)
-오랜 세월 동안의 바람과 서리
-아주 오랜 세월동안 겪어온 많은 고생
8. 만사형통(萬事亨通)
-모든 일이 뜻대로 잘됨
9. 만사휴의(萬事休矣)
-만 가지 일이 끝장남
-모든 일이 헛수고로 돌아감. 가망이 없음
10. 만수무강(萬壽無疆)
-아무 탈 없이 오래 삶
11. 만시지탄(晩時之歎)
-때늦은 한탄
-시기가 늦어 기회를 놓쳤음을 한탄함
12. 만휘군상(萬彙群象)
-우주에 있는 온갖 사물과 현상
(유의어: 삼라만상森羅萬象)
13. 망년지교(忘年之交)
-나이차이를 잊고 허물없이 사귄 벗
-나이 차 생각하지 않고 재주와 학문만으로 허물없이 사귀는 친구
14. 망양지탄은 한자에 따라서 뜻이 다릅니다
14-1. 망양지탄(亡羊之歎)
-갈림길에서 양을 잃고 탄식함
-학문의 길이 여러 갈래여서 한 갈래의 진리도 얻기 어려움
14-2. 망양지탄(望洋之嘆)
-넓은 바다를 보고 탄식함
-제 힘이 미치지 못할 때 하는 탄식
15. 망운지정(望雲之情)
-당나라 적인걸이 타향에서 산에 올라 멀리 구름을 바라보며 고향에 계신 부모를 그리워한 것에서 유래됨
-구름을 바라보며 그리워함
-자식이 객지에서 어버이를 그리워하는 마음
16. 망자계치(亡子計齒)
-죽은 자식 나이 세기
-이미 지나간 일을 생각하며 애석하게 여김
-이미 그릇된 일은 아무 소용없음
17. 매란(난)국죽(梅蘭菊竹)(梅蘭菊竹)
-매화와 난초와 국화와 대나무 사군자를 이르는 말
18. 맥수지탄(麥秀之嘆)
-기자가 주국 은나라가 멸망한 뒤에도 보리만은 잘 자라는 것을 보고 조국이 망한 것을 한탄한 데에서 유래
-고국의 멸망을 한탄함
19. 맹모단기(孟母斷機)(맹모단기지교)
-맹자가 학업을 중단하고 돌아왔을 때, 그 어머니가 짜던 베를 잘라서 학문을 중도에 그만둔 것을 훈계한 일을 이르는 말
-맹자의 어머니가 베를 끊었다
-학업을 중도에서 그만둠을 훈계하는 말
20. 맹모삼천(孟母三遷)(맹모삼천지교)
-맹자를 가르치기 위해 어머니가 세 번이나 집을 옮김
-교육에는 환경이 중요함
21. 맹인모상(盲人摸象)
-장님이 코끼리를 만지는 식
-사물의 일부만 보고 함부로 전체에 대한 결론을 내리는 좁은 견해
-일부를 알면서 전체를 아는 것처럼 여기는 어리석음
22. 면종복배(面從腹背)
-겉으로는 복종하는 척하면서 속으로는 배반함
(유의어: 구밀복검口蜜腹劍, 동상이몽同牀異夢)
23. 명경지수(明鏡止水)
-맑은 거울과 고요한 물
-맑고 고요한 심경
-깨끗한 마음
24. 명실상부(名實相符)
-이름과 실상이 서로 딱 들어맞음
(반의어: 유명무실有名無實)
25. 명약관화(明若觀火)
-불을 보는 것 같이 밝게 보임
-불을 보듯 분명하고 뻔함
-더 말할 나위 없이 명백하게 알 수 있음
26. 명재경각(命在頃刻)
-목숨이 경각에 달림
-금방 숨이 끊어질 지경. 거의 죽음
(유의어: 일촉즉발一觸卽發)
27. 명주암투(明珠暗投)
-보배로운 구슬을 어둠 속에 던짐
-어떤 귀한 선물도 도리에 벗어난 방법으로 주면 도리어 원망을 삼
-재능은 있으나 알아주는 사람을 만나지 못하고 있음
28. 명철보신(明哲保身)
-총명하고 사리에 밝아 일을 잘 처리해 자신의 몸을 보존함
-매사에 법도를 지켜 온전하게 처신하는 태도
29. 모수자천(毛遂自薦)
-조나라에서 초나라에 구원을 청할 사신을 물색할 때 모수가 스스로를 추천한 데에서 유래
-자기 자신을 추천함
-오늘날에는 일의 앞뒤도 모르고 나서는 사람을 비유
30. 목불식정(目不識丁)
-한자 중에서 쉬운 글자인 고무래 정(丁) 자를 모름(고무래를 보고도 고무래 정(丁) 자를 모름)
-아는 것이 없음, 글자를 전혀 모름
31. 목불인견(目不忍見)
-차마 눈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참혹한 상황이나 꼴불견
-눈앞에 벌어진 상황을 차마 눈 뜨고 볼 수 없음
by. 먼지잡학사전
'어학사전 > 사자성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ㅁ으로 시작하는 사자성어 모음 2탄(묘~미) (0) | 2022.11.09 |
---|---|
[알아두면 좋은 사자성어] ㄷ으로 시작하는 사자성어 모음 2탄 (0) | 2022.09.26 |
ㄷ으로 시작하는 사자성어 모음 1탄(다~동) (0) | 2021.09.29 |
ㄴ으로 시작하는 사자성어 모음 (0) | 2021.09.10 |
[알아두면 좋은 사자성어] ㄱ으로 시작하는 사자성어 3탄 (0) | 2021.09.08 |